간암은 주로 다른 암종과 달리 조직검사 없이 영상검사와 종양표지자 검사를 통해 진단되고, 이를 통해 진단이 되지 않는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한다.
신체검진(Physical exam)
복부 촉진, 촉진 가능한 간 소결절, 복부 팽창 또는 팽만, 촉진 가능한 림프절, 장기 비대(간비대, 비장비대, 간비장비대), 황달, 복수 등을 알 수 있다.
영상검사(Imaging)
원발종양의 크기와 위치, 원발장기를 넘어선 확산 및 폐쇄의 정도, 원격 장기로의 침범등을 알 수 있다.
- 흉부 엑스선검사(Chest X-ray)
- 초음파검사(Ultrasound)
- 담관조영술
- 혈관조영술
- 전산화단층촬영(CT)/자기공명영상(MRI)
- 양전자방출단층촬영(PET)
종양표지자(Tumor markers)
암세포가 생산하는 물질 및 암세포가 체내에 존재하고 있을 때 만들어지는 이상물질로, 암세포의 존재를 파악하고 재발 및 예후를 관찰한다.
- 간기능검사(Liver Function Test): 전이나 폐쇄 또는 다른 병변으로 인한 간기능 이상의 경우 간에서 방출되는 효소를 측정하는 혈액화
학검사 - 혈청 알파태아단백(Alpha-Fetoprotein, AFP): HCC의 종양표지자로 종양의 잔여여부를 모니터하기 위해 수술 후에도 표지자로 이용된
다. αFT, AFT, alpha-fetoglobulin. - Osteopontin
- des-gamma-carboxy prothrobin (PIVKA Ⅱ)
- AFP-L3
- a-L-Furosidase
- Glypican-3
내시경검사(Endoscopies)
- EGD(Esophagogastrodudenoscopy): 식도위십이지장내시경
- 결장내시경
- ERCP(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) : 내시경적 역행적 담관 조영술
조직검사(Pathology)
세포의 유형, 병변의 크기, 장기내 종양의 수, 침범된 림프절의 수, 인접 조직(다른 장기, 장간막)으로의 침범 정도 등을 알 수 있다.
- Cytology
- Abdominal Washings
- Thoracentesis
- Paracentesis